본문 바로가기

이명수의 '마음詩처방'

울 수밖에요

 

세월호 침몰 후,

내 몸에 수분이 이렇게 많았을까 싶게 울게 됩니다.

그게 마지막인 줄 알았더라면...그렇게 가슴치는 부모님 때문에,

끝까지 천진한 아이들의 웃음이 안타까워서 오열합니다.

울 수밖에요.

울음의 끝에 슬픔은 무너지고 길이 보인다지요.

눈 밝은 노시인의 그 말을 믿고 싶습니다.

아직은 울음의 끝이 아닙니다.

그럴 수도 없습니다.

함께 울 수밖에요.

 

 

 

 

 

 

 

 

"어느 날 신생아실에서

우는 한 아기의 울음소리에

더 크게 따라 우는 아기들을 보았습니다

쓸쓸한 가죽을 쓰고 태어난 이 세상 모든 연약한 생물들의

아름다운 동맹이었습니다

-김원경<환경지표 생물>

 

 

 

 

 

본래 우리는 울음으로 맺어진,

아름다운 동맹 관계인 사람들이라지.

깜빡했어.

 

 

 

 

 

 

 

 

 

 

 

"집 어느 구석에서는

울고 싶은 곳이 있어야 한다

가끔씩 어느 방구석에서는 울고 싶은데도

울 곳이 없어

물 틀어놓고 물처럼 울 때

물을 헤치고 물결처럼 흘러간 울음소리"

-천양희<웃는 울음>

 

 

 

 

 

그런 곳(어쩜 사람), 꼭 있어야 하고 말구.

그래야 살지.

 

 

 

 

 

 

 

 

 

"가난한 밥상머리에

똥개네 온가족 둘러앉아

구수한 된장에 푹 담구었다가

도란도란 이야기꽃 피워가며 한 장씩 쌈 싸먹는

감격의 호박잎이여"

-이동순<호박잎>

 

 

 

 

 

그동안은 가난했지만 행복한 가정이었는데,

이제 널 보내니 가난만 남았구나

어느 부모가 분향소에 피울음으로 그렇게 써 놓았다지.

무슨 말을 더 못하겠어.

 

 

 

 

 

 

 

 

 

 

"깨진 그릇은

칼날이 된다

무엇이나 깨진 것은

칼이 된다"

-오세영<그릇 1>

 

 

 

 

 

파편이 가슴으로 날아오는 느낌.

마음에 금이 가서 피울음이 고여있는 이들을 방치하곤

칼 없는 세상, 절대 못 오지.

 

 

 

 

 

 

 

 

 

"어머니와 나는 같은 피를 나누어 가진 것이 아니라

똑같은 울음소리를 가진 것 같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김경주<주저흔(躊躇痕)

 

 

 

 

 

어쩌면 그럴지도 모르겠네.

아니, 그게 맞겠어.

 

 

 

 

 

     

 

 

 

 

"깊은 밤, 나는

그가 물을 틀어 놓고

우는 소리를 자주 들었다

울음소리는 물에 섞이지 않았지만

그가 떠내려 보낸 울음은

돌이 되어 잘 살거라 믿었다"

-이병률<내 마음의 지도>

 

 

 

 

 

지금은, 잘 살고 있을 거야. 틀림없이.

꼭 그래야 하고 말구.

 

 

 

 

 

 

 

 

 

 


@ 힐링톡을 트위터/페이스북을 통해서도 받아보세요.

 

 

 

* 트위터 주소 : www.twitter.com/mindprism4u

* 페이스북 주소 : www.facebook.com/mindprism4u

 

 

 

'이명수의 '마음詩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움의 편지  (0) 2014.06.24
두손 모읍니다  (0) 2014.06.03
어찌할 수 없는 슬픔이 있지요  (1) 2014.04.29
결정적 순간이 있지요 2  (0) 2014.04.08
봄날 같은 약속들  (0) 201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