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아침 신문 지상을 통해
이제는 볼 수 없는 아이들에게 띄우는
부모들의 간절한 편지를 한줄한줄 읽습니다.
그리움이 얼마나 절절한지 도저히 한번에는
다 읽지를 못 하겠어요.
‘사랑하는 사람아
이렇게 첫 머리를 쓰고 오래오래 편지를 쓰지 못하는
시간들이 있습니다‘
그리운 사람들을 기록하며 쓴 최돈선 시인의 그 말뜻을
아침마다 빈 속의 냉수처럼 찌르르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딱 한번 만져볼 수조차 없는 그리움이라니요.
그걸 무슨 수로 견디나요.
몸으로, 마음으로
잊지 않고 있다는 편지를 함께 쓰는 수밖에요.
"그리움도 세월이 흐르면 저 가구처럼 낡아져
일순간 부숴버릴 수는 없는 것일까
나는 낡은 가구처럼 고요하게 앉아 있었다
정 그리워서 미쳐버릴 지경에 이르면
내 이마에 우표를 붙이고 배달을 보내리라"
-김충규<우체국 계단>
부술 수 있으면 그게 가구지 그리움이겠어.
"몹시 추운 날
산에 오르다 보면
저절로 흘러나오는 콧물처럼
닦아도 닦아도 흐리기만 하는 콧물처럼
내 기억에서 쉼없이 흐르는
긴 실개천 한줄기 보인다"
-이성부<그리움>
그리움이란 게 그렇다는 거잖아.
뼛속에 와 박히는 느낌.
“나무에게도 그리움이 있다는 걸 안다
그렇지 않고서야
베인 자리에 저렇듯 너울이 일어
겹겹이 바깥으로 밀려나는 둥근 물결이 있으랴“
-문신<나무의 수사학>
시인이 아니었으면 그런 나이테의 비밀도 모를뻔 했잖아.
그게 그리움 때문이었어. 쎄구나!
가만히 바라 보았지.
"양산을 거꾸로 걸어놓고 나무를 흔들면
웃음처럼 보드득 살구가 쏟아져 내렸지
아! 살구처럼 익어가던 날들이었다 생각하면
그리움이 가득 입안에 고인다 피아노 소리는
마룻바닥을 뛰어다니고 창 밖엔 비가 내린다"
-김현식<유월의 살구나무>
그리운 이와 그랬을 그 광경이 보드득, 생생하게 느껴지는 거라.
“아들아, 이룰 수 없는 꿈일랑 묻어두면 어떨까
좋으면 갖고 싶지
그것이 당연하지
그러나 안 되는 게 더 많은 세상에서
참아라
이 말만 거듭 피 토하듯 뇌인다“
-유자효<편지>
명품 구두가 아니라 꿈을 포기하라 말해야 했던
애비의 심정이라니.
이젠, 그런 말 안 하려고.
그런 말 안 해도 되는 세상에서 살게 해 줘야 어른이지.
"물돌물 돌물돌
물이 흘러갑니다
함께 가자
함께 가자
어린 물이 어르며
어린 돌을 데리고 흘러갑니다
모래무덤 끝으로
그리움으로"
-서정춘<동행>
그런 실로폰 같은 그리움의 동행이라면 얼마나 좋아.
나 기꺼이 길동무 할테야.
"꿈에 네가 왔더라
스물세 살 때 훌쩍 떠난 네가
마흔일곱 살 나그네 되어
네가 왔더라
(....)
너는 울기만 하더라
내 무릎에 머리를 묻고
한마디 말도 없이
어린애처럼 울기만 하더라"
-김규동<북에서 온 어머님 편지>
뭘 더 하겠어요, 어머니.
훗날 제가 어머니 만나면 그거밖에요.
@ 힐링톡을 트위터/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를 통해서도 받아보세요.
* 트위터 주소 : www.twitter.com/mindprism4u
* 페이스북 주소 : www.facebook.com/mindprism4u
* 카카오스토리 : 친구찾기> '내마음보고서' 검색> 소식받기
* 내마음카페 : http://cafe.naver.com/holgaboon
'이명수의 '마음詩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못 잊는 기억이 있지요 (0) | 2014.08.05 |
---|---|
아이들 없이 무슨 세상이 있나요? (0) | 2014.07.15 |
두손 모읍니다 (0) | 2014.06.03 |
울 수밖에요 (0) | 2014.05.13 |
어찌할 수 없는 슬픔이 있지요 (1) | 201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