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정신 안 차려도 돼요
6살 아이가 유치원 선생님에게 다가와 느닷없이 물었답니다.
“선생님, 저 정신 차려요?”
“(화들짝)왜?”
“엄마가 저더러 정신 차리래요”
6살 먹은 아이가 무슨 정신을 차려야 하나요, 도대체.
그러니 크면서는 오죽하려구요.
세상은 그런 거라며,
늘 호랑이 앞에 먹잇감으로 놓인 사람처럼
정신을 바짝 차려야 살아 남을 수 있다고 윽박지릅니다.
정해진 길에서 벗어나 흔들리는 것을 무슨 죄악으로 치부합니다.
흔들리면 흔들리는대로 살아도 아무 지장 없습니다.
누가 뭐라고 안해도 결국 ‘자기’로 돌아 오니까요.
흔들렸다 돌아온 사람이 더 근사해지고
더 강해진다는 거 이젠 다 알지 않나요.
"어이!
거기 그렇게 우두커니 섰지 말고 이리로 오렴
나를 좀 흔들어 놓지 않으련?
불빛 덩그러니 남은 빈 그네가 슬퍼
나를 태우고 흔들려주지 않으련?"
-김은진<나를 태우고 흔들려 다오>
그렇다면 흔들려줘야 되는 거 아닌가.
느낌 아니까~
"엄나무 가지 끝에 새가 날아왔다 간다
가지 끝에 앉을 줄 아는 저 새가 불편하다
흔들림을 흔적으로 남기는 저 새가 불편하다"
-김남극<늦가을>
만추의 고요 속에선 실낱 같은 흔들림도
동아줄처럼 느껴지나 봐.
"사는 것은
혼자 흔들리다 지는 것이
아니라
초록 동색으로 물들고
물들이며
서로 치대고 나부끼는
것이라고"
-고훈실<초록달>
초록달이 그랬다는 거라.
좋은 기운이 달빛처럼 흥건한 느낌.
서로 치대고 나부끼고.
좋구나!
"당신을 조금만 벗어나면
고장 난 나침판처럼 흔들렸다"
-정수경<슬픔의 각도>
그 밀착과 절절함의 상태를 이해못할 건 없지만, 그러다 욕봐요.
얼마전 초행길에 갑자기 네비게이션 먹통돼서 얼마나 고생했게.
너무 많이 흔들리지 말았으면 할 때도 있긴 해.
“어둠 앞에 흔들리는 서로의 손을 잡고
불켜진 낯선 마을로 흘러가는 저 강물처럼
노래를 뼈에 묻으면 삶도 다만 긴 느낌표“
-민병도<저무는 강>
그렇고 말구.
어둠 앞에서 흔들리는 서로의 손 마주 잡으면 얼마나 든든하고 따뜻하게!!!
시인이 변조한 절대자의 음성으로 이렇게.
"많이는 흔들리지 말고
뿌리 깊은 나무처럼만 흔들리거라.
그것도 잠시만 흔들리거라"
-김형영<마음이 흔들릴 때>
네에.
명(命)받자와, 뿌리 깊은 나무처럼만 잠시.
흔들림 앞에 선 그대들, 퐈이야!
@ 힐링톡을 트위터/페이스북을 통해서도 받아보세요.
* 트위터 주소 : www.twitter.com/mindprism4u
* 페이스북 주소 : www.facebook.com/mindprism4u
* 카카오스토리 : 친구찾기 '내마음보고서' 검색 후 소식받기